포트폴리오

월 1회 리벨런싱

자산 비율 모멘텀 기반 비율 조정 투자 ETF
글로벌 10% 6% TIGER 라틴35
TIGER 차이나항셍25
KODEX 차이나H
TIGER 유로스탁스배당30
KODEX 선진국MSCI World
미국 25% 19% KODEX 미국 S&P에너지(합성)
KBSTAR 미국S&P원유생산기업(합성H)
TIGER 글로벌자원생산기업(합성H)
KODEX S&P글로벌인프라(합성)
한국 25% 21% KODEX 보험
TIGER 은행
TIGER 200 금융
TIGER 여행레저
TIGER 코스피고배당
중장기채권 20% 0% 없음
단기채권 20% 47% KODEX 미국달러선물
TIGER 미국단기채권액티브
KODEX 단기변동금리부채권액티브
KBSTAR KIS단기종합채권(AA-이상)액티브
TIGER 단기채권액티브
현금 0% 7%  

등락율

자산 보유 ETF 등락률 대조군 등락률
글로벌 TIGER 라틴35 0.28% KODEX 선진국MSCI World


-2.07%


TIGER 차이나항셍25 0%
KODEX 차이나H 0.45%
TIGER 유로스탁스배당30 -1.74%
KODEX 선진국MSCI World -2.07%
미국 KODEX 미국 S&P에너지(합성) -0.63% TIGER 미국S&P500 -2.29%
KBSTAR 미국S&P원유생산기업(합성H) -0.21%
TIGER 글로벌자원생산기업(합성H) -0.13%
KODEX S&P글로벌인프라(합성) -0.04%
한국 KODEX 보험 -0.81% KODEX 코스피 -1.01%
TIGER 은행 1.18%
TIGER 200 금융 0.73%
TIGER 여행레저 0.2%
TIGER 코스피고배당 -0.7%
단기채권 KODEX 미국달러선물 0.24% KODEX단기채권 0%
TIGER 미국단기채권액티브 0.1%
KODEX 단기변동금리부채권액티브 0%
KBSTAR KIS단기종합채권(AA-이상)액티브 -0.03%
TIGER 단기채권액티브 -0.02%
오늘 수익률 -0.07%    
월 누적 수익률 0.76%    
년 누적 수익률 -1.95%    

모멘텀

  • 글로벌
    • "TIGER 라틴35", "TIGER 차이항셍25" 가 높은 모멘텀을 유지했다.
    • "차이나" 관련 ETF들의 수익률은 좋아지고 있다. 그러나 모멘텀 변화가 조금씩 있는 편이다. 
    • "KODEX 선진국MSCI World",  "TIGER 유로스탁스배당30" 은 오늘 하락으로 모멘텀이 하락으로 전환되었다.
  •  미국
    • 에너지, 원자재 등이 강한 모멘텀을 유지 중이다.
    • 다우, S&P500 모멘텀이 낮음으로 전환되었다.
  • 한국
    • 금융, 여행, 고배당 관련 ETF가 상승 모멘텀 유지 중이다. 
    • 어제부터 "KODEX 200롱코스닥150숏선물"  ETF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 
  • 원자재
    • 농산물, 원유, 탄소배출권, 팔라듐, 구리 등 높은 모멘텀을 유지 중이다. 
    • '골드', '은'이 낮은 모멘텀으로 전환되었다.
  • 중장기 채권
    • 모든 종목이 낮은 모멘텀을 유지 중이다.
  • 단기채권/현금
    • 달러는 높은 모멘텀을 유지중이다.
    • 초단기채권은 예금과 같아 모멘텀 영향이 없다.

회고

글로벌

욕심을 냈다가 오늘 하락장을 맞이했다. 

오늘 글로벌 자산 편입을 했다면, "KODEX 선진국MSCI World",  "TIGER 유로스탁스배당30" 은 편입을 안했을 것이다. 

월 1회 리벨런싱을 원칙을 지키기위해 두고 볼 예정이다.

라틴과 중국은 오늘도 상승했다.

원자재 값 상승과 올림픽 영향이 아닐까 추측해본다.

 

미국

S&P500 ETF가 약 -2.29% 하락 했다.

미국 자산은 "0.04% ~ -0.6%" 으로 잘 방어를 했다.  

시장보다 높은 하락이 발생할거라 우려했었다.

그러나 시장보다 높은 상승을 하지 못했던 것은 조금 지켜봐야겠다.

 

한국

코스피 ETF가 -1% 하락했다.

그에 대비하여 한국 자산은 상승했다. 

인플레이션에 의한 금리상승을 염두한 결과인것 같다. 

일단 결과는 좋았다.

"KODEX 200롱코스닥150숏선물" 수익이 괜찮아 보인다. 

하락장에서는 코스닥이 더 떨어진다.

따라서 이 ETF에 투자하는 것도 괜찮아 보인다.

그러나 시장이 어떻게 바뀔지 모르기때문에, "장기적 투자관점에서 이 ETF가 좋은가?"는 의문이다. 

 

원자재

전 종목에서 높은 모멘텀을 유지하고 있다. 

원자재 가격의 등락폭이 커지고 있다. 

금과 은의 모멘텀이 하락전환되었다. 

생각보다 금과 은이 인플레이션 방어를 못하고 있다. 

이전 포트폴리오에서 가장 답답했던 부분이었다. 

워렌버핏 처럼 원자재 관련 기업에 투자하는것이 더 좋지 않은가 하는 생각이 든다.

 

중장기채권

낮은 모멘텀을 유지하므로 투자를 보류한다.

채권관련 ETF가 많이 없는 것 같다.

조금 아쉽다.

 

단기채권/현금

오늘 유동적으로 투자해야 하는 자금을 제외하고, 전체 자금을 "KODEX 단기변동금리부채권액티브" 에 넣어두었다.

먼저 단기채권 ETF 중에 수익률이 가장 높다. 

그리고 정기예금과 같은 수익을 추구하면서 세금을 최대한 유예하기 위한 방안이다. 

달러가 손실을 방어하는데 역할을 했다.

 

포트폴리오

미국, 한국, 글로벌 큰 하락장에서 잘 방어를 했다. 

내 자산비중을 보더라도 현재 모멘텀은 '인플레이션' 과 "금리상승" 이다.

이것이 반전되는 시점이 가장 걱정이다. 

모멘텀이 변화되었을때 가장 큰 손실이 발생할 것 같다. 

 

영구포트폴리오를 적용하느냐? 

오늘같은 경우라면 큰 손실이 발생했을 것이기 때문에 의문이다.

주식, 금, 원자재 모두 불안한 흐름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지금은 투자를 해야 한다면 조심해야 하는 시점이라고 이야기 하고 싶다.

 

 

 

+ Recent posts